그 누구보다 부지런하고 성실하고 열정적인 코같투님😊 배울점이 참 많은 분
💾 서울로 올라가는 기차 안에서 주저리 UDC2025를 가기 위해 강제 기상한지라 KTX에서 써보는 뻘글. 어느덧 KBW2025가 다가오고 제게 의미가 컸던 KBW2024가 지나간지 1년이 되어가네요. 개인적으로 1년 전 느꼈던 점과 지금 제가 느낀 점을 써보며 잠을 쫓아보고자 합니다. 1️⃣ BLUR의 대성과 FriendTech의 폭발 개인적으로 한국을 넘어서는 채널로 제가 성장해야겠다 생각했던 가장 큰 계기입니다. Paradigm VC는 당시 자신 외에 BLUR에 대해 대부분의 시드 투자 리스트를 VC가 아닌 유명 CT(혹은 KOL)에게 넘겼던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습니다. 저는 이때부터 업계의 선구자들이 VC 말고 KOL이 프로젝트의 성장에 더 잘해줄 수 있는 분야가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 생각은 FriendTech을 통해 확신으로 바뀌었고, 그 안에서 경쟁하며 글로벌 KOL과 넘을 수 없는 벽이 있고 한국 커뮤니티는 너무나 작음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오히려 이것이 저에게 남은 스스로의 성장기회라고 생각해 더 나아지겠다는 다짐을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2️⃣ KBW2024와 영어 회화에 대한 성장 위 다짐과 함께 가장 급선무로 느껴졌던 점은 영어회화였습니다. 재단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결정적인 차이를 느낀다고 생각했고 영어실력을 키우기 위해 우습게도 영어회화 수업이 아닌 KBW2024 사이드이벤트에 한국인이 없을만한 곳만 20곳이 넘게 찾아가 외국인들과 대화하는 시도를 했습니다. 어이없게도 그 이후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고, 현재도 많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많은 프로젝트 팀들과 1시간 가량 콜을 할만큼 성장했습니다. 그 당시 부족한 영어였음에도 불구하고 친절하게 어울려준 내 단짝친구 @dadagrassman, 그리고 @miratisu_ps @ahboyash @0xkatz @RyanChow_DeFi 에게 매우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사실 영어를 잘하게 되었다기 보다는 자신감이 붙었다는 쪽에 가깝고, 이는 WEB3 세계의 좋은 친구들은 감사하게도 내 부족한 영어도 알아듣기 위해 배려하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AI가 모든 것을 번역해주는 시대이지만 서툴더라도 본인의 입으로 소통하고 본인의 귀로 들으며 생기는 교감은 AI 번역을 통해 이뤄질 수 없다고 생각하기에 계속 영어실력을 다듬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3️⃣ Kaito를 통한 성장 영어 회화와 함께 노력했던 점은 텔레그램을 벗어나 트위터로 나아가는 것이었습니다. 확산력이 있는 트위터와 별개로 텔레그램은 폐쇄적이었고, 공개되지 못한 점이 많아 글로벌 팀들은 한국 커뮤니티가 얼마나 강한지에 대해 확신이 없어 유의미한 협력이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그러한 시기에 @KaitoAI 가 마중물이 되어주었고, @jiwoo_jun 님의 적극적인 서포트로 한국 야퍼들의 전성시대가 열려 저 또한 큰 수혜를 받게 되었습니다. 선뜻 AMA에 응해준 @Punk9277 에게 감사드립니다. 또한 Kaito를 통해 이어지게 된 인연 @Ru7Longcrypto @yueya_eth @VIVISTAYGOLD @0xzoe_im @AloeOnChain 감사하고 항상 함께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4️⃣ 자체 콘텐츠 기획을 통한 성장 Kaito 이후에도 단순히 한국의 상위 KOL이 아닌 자체적인 콘텐츠를 제공하고 차별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자 많이 노력해왔는데 이는 곧 한국 커뮤니티 전체의 성장과 수혜범위 확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매번 프로젝트에 맞춘 콘텐츠 기획서를 프로젝트에 제출했고 감사하게도 이에 응해준 팀 덕에 저와 한국 커뮤니티가 한 단계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0G_labs @Mira_Network @MMTFinance @OpenledgerHQ @Theo_Network @ethsign @SuccinctLabs @campnetworkxyz @overtake_world @StoryProtocol @ethena_labs @monad @SuiNetwork @irys_xyz @defidotapp @Sidekick_Labs @soon_svm 등 다소 허무맹랑할 수 있던 저의 시도를 흔쾌히 응해주고 노력해준 것에 매우 감사함을 느끼며 이 자리를 빌어인사드립니다. 5️⃣ 앞으로도 계속할 수 있을까? 올해 결혼을 앞두고 남자에서 남편에서 아빠가 되는 과정에서 솔직히 .....이러한 추세로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국 커뮤니티가 커가면서 @CyberRektruck @hyeon__dev @KORypto_JUN @RaoniKor @dorami404 @moonyu_myu 등 멋진 친구들이 커뮤니티를 더 다채롭게 채워가고 있고 제가 항상 의지하고 무언가를 할 때 같이 할 수 있는 @ROKMCFIREANT 가 있기에 더욱 더 한국시장은 WEB3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커갈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또한 한국에 훌륭한 분들이 대형 재단에 핵심인물로 자리잡고 있는 모습 또한 한국 커뮤니티의 성장에 큰 기여를 했고,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sungmo_nad @Gem3a @0xtkyeo @onchainwanderer @0xyoungin @holy__molly_ @ksatoshi_iota @jiwoo_jun 님께 큰 감사인사를 드립니다. 6️⃣ 한국시장이 더더욱 성장하길 몇몇 사람들은 자조적으로 말합니다. 한국 시장은 Exit Liquidity라고, 어느정도 동의하며 그렇다면 우리가 당당히 입장료를 요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탐나는 한국시장이라면 환영받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며 더더욱 한국에 많은 노력을 해주길 요청하며 또 그렇게 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것이 제 생각이며 수많은 해법 중 하나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방항성은 WEB3가 진정 매스어돕션으로 오는 순간 단순히 투자와 수익이 아닌 일자리를 마련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는 제 방식을 고수해보고자 합니다. 아직 부족한 점이 많고 못난 점도 많고 비판받을 점도 많은 사람이지만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결과물로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요약: 우리존재 화이팅
1.42K
21
The content on this page is provided by third parties. Unless otherwise stated, OKX is not the author of the cited article(s) and does not claim any copyright in the materials. The content is provided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does not represent the views of OKX. It is not intended to be an endorsement of any kind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investment advice or a solicitation to buy or sell digital assets. To the extent generative AI is utilized to provide summaries or other information, such AI generated content may be inaccurate or inconsistent. Please read the linked article for more details and information. OKX is not responsible for content hosted on third party sites. Digital asset holdings, including stablecoins and NFTs, involve a high degree of risk and can fluctuate greatly. You should carefully consider whether trading or holding digital assets is suitable for you in light of your financial condition.